본문 바로가기

Python

12. 사전

{1: “”, 2:””} → 중괄호 안에 각각 개별 캐비넷에 포함

print( cabinet[1] ) → 출력은 대괄호 안에 캐비넷이름 사용 또는

print( cabinet.get(1)) → 소괄호 사용

추가, 변형, 삭제 가능

cabinet = {3:"유재석",100:"김태호"}
print(cabinet[3])    #대괄호를 사용해서 결과값 출력
print(cabinet[100])

print(cabinet.get(3))  #get()소괄호를 사용해서 결과값 출력

# print(cabinet[5])      #대괄호 사용시 해당결과값 없으므로 프로그램 종료
# print("hi")        
# print(cabinet.get(5))    #소괄호 사용시 None으로 결과값 프로그램 계속됨
# print("hi")

print(3 in cabinet)  #True
print(5 in cabinet)  #False

cabinet = {"A-3":"유재석", "B-100":"김태호"}
print(cabinet["A-3"])       #유재석
print(cabinet["B-100"])     #김태호

#새 손님
cabinet["A-3"] = "김종국"
cabinet["C-20"] = "조세호"
print(cabinet)       #{'A-3':'김종국', 'B-100':'김태호', 'C-20':'조세호'}

#간 손님
del cabinet["A-3"]
print(cabinet)    #{'B-100':'김태호','C-20':'조세호'}

#key값만 출력
print(cabinet.keys())    #dict_keys(['B-100','C-20'])
#value값만 출력
print(cabinet.values())    #dict_values(['김태호','조세호'])
#key,value값 쌍으로 출력
print(cabinet.items())    #dict_items([('B-100','김태호'),('C-20','조세호')])

 

 

반응형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4. 세트(집합)  (0) 2023.05.22
13. 튜플  (0) 2023.05.22
11. 리스트  (0) 2023.05.22
10.탈출문자  (0) 2023.05.15
9.문자열 포맷  (1) 2023.05.15